본문 바로가기
경제

라부부(Labubu)와 팝마트(Pop Mart), 갑작스러운 유행의 비밀

by Study Economics 2025. 9. 3.

라부부 인형은 왜 갑자기 유행했을까요? 블랙핑크 리사 효과, MZ세대 소비 트렌드, 리셀 시장, 그리고 팝마트 매출·주가 폭등까지 종합 분석합니다.

라부부란 무엇인가?

라부부(Labubu)는 홍콩 출신 아티스트 케니 웡(Kennyswork)이 만든 독창적인 아트 토이 캐릭터로, 2014년 무렵 처음 등장했습니다. 토끼 같은 귀와 커다란 눈망울, 뾰족한 이빨을 특징으로 하는 독특한 외형은 기존 인형의 전형적인 귀여움과는 차별화된 ‘어글리 큐트(Ugly-Cute)’ 매력을 담고 있습니다. 단순한 장난감이 아니라 감정과 개성을 투영할 수 있는 수집품으로 여겨지며, 인테리어 소품이나 촬영 소품으로도 활용도가 높아 성인층에서도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라부부가 갑자기 유행하게 된 이유

라부부는 마니아층에서 꾸준히 사랑받던 캐릭터였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대중적인 유행으로 번졌습니다.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셀럽 효과입니다. 블랙핑크 리사가 인스타그램에 라부부 키링을 공개한 것이 계기가 되어 전 세계 팬들의 주목을 받았고, 이후 리한나, 두아 리파, 킴 카다시안 같은 해외 셀럽들까지 라부부를 활용하면서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팬데믹 이후 MZ세대가 작은 즐거움과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는 소비 성향을 보인 점도 유행을 가속화했습니다. 블라인드 박스를 열 때의 설렘, 희귀 아이템을 뽑았을 때의 성취감, 인형을 꾸미고 전시하는 재미가 모두 ‘소확행’을 충족시켰습니다. 여기에 희소성과 리셀 시장이 열광을 더했습니다. 정가는 2만~5만 원대이지만 한정판은 수백만 원대까지 치솟으며, 단순한 인형이 아닌 투자 가치가 있는 수집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입니다. 

 

팝마트(Pop Mart)의 전략과 성공

라부부의 흥행 뒤에는 중국의 완구 기업 팝마트가 있습니다. 팝마트는 2010년 베이징에서 설립된 이후 아트 토이 시장을 개척하며 전 세계적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이 회사의 핵심 전략은 블라인드 박스 판매 방식으로, 소비자가 어떤 제품이 들어 있을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구매하게 하여 개봉 순간의 재미를 제공했습니다. 이는 반복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희귀 아이템 확보를 위해 교환과 리셀 시장까지 활성화했습니다. 또한 팝마트는 오프라인 플래그십 매장, 팝업 스토어, 자판기를 활용한 유통망을 확장하며 글로벌 소비자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소비자를 단순한 구매자가 아닌 팬덤 커뮤니티의 일원으로 끌어들여 라부부를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발전시킨 점도 특징적입니다. 

 

라부부와 프리미엄 시장

라부부는 현재 프리미엄 인형 시장의 대표 사례로 꼽힙니다. 블라인드 박스 하나의 정가는 수만 원대에 불과하지만, 일부 희귀판은 수십 배에서 수백 배까지 가격이 치솟습니다. 실제로 Vans와 협업한 라부부는 8만 원대에 출시되었지만 리셀 시장에서는 1천만 원 이상에 거래된 사례가 있습니다. 글로벌 리셀 플랫폼에서는 원가 대비 100% 이상 프리미엄이 붙은 라부부가 흔하고, 일부 경매에서는 수천만 원대 낙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단순한 인기 때문만이 아니라 희소성과 팬덤의 집단 심리가 맞물린 결과이며, 소비자에게는 소유 자체가 곧 투자라는 인식을 심어주었습니다. 

 

팝마트의 매출과 주가

라부부 열풍은 팝마트의 실적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었습니다. 2024년 팝마트의 연간 매출은 약 13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06.9% 증가했고, 순이익은 약 34억 위안으로 185% 이상 급등했습니다. 특히 라부부를 포함한 ‘The Monsters’ 라인이 매출의 약 23%를 차지하며 회사의 성장 엔진 역할을 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이미 전년도 전체 매출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두었고, 순이익은 46억 위안 이상으로 급증했습니다. 회사 측은 올해 매출이 200억 위안을 무난히 넘길 것으로 전망하며, 최대 300억 위안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주가 역시 라부부 인기에 따라 급등했습니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팝마트(종목코드 9992.HK)는 최근 1년간 약 400% 가까이 상승했으며, 2025년 9월 현재 주가는 300홍콩달러 안팎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52주 최저가는 45홍콩달러 수준이었으나 최고가는 339홍콩달러를 찍었고, 증권사들의 평균 목표가는 361홍콩달러로 여전히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평가됩니다. 라부부 덕분에 팝마트 창업자 왕 닝 회장은 자산이 1년 만에 200억 달러 가까이 증가하며, 글로벌 억만장자 순위에도 이름을 올렸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라부부와 팝마트의 성공은 일시적인 유행으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팝마트는 이미 디지털 자산, NFT, 게임, 메타버스와 같은 영역과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으며, 라부부를 디지털 세계로 확장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또한 K-팝, 일본 애니메이션 등 글로벌 콘텐츠와 협업할 가능성도 높아, 라부부는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 글로벌 문화 아이콘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수집 욕구를 자극하는 한편 팬덤 커뮤니티를 강화하는 전략을 통해 앞으로도 꾸준한 인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 글 보기

2025.07.17 - [경제] -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 정의 심리적 요인 스놉 효과(Snob Effect)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 정의 심리적 요인 스놉 효과(Snob Effect)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여러분은 새로운 가방이 유행하면 갑자기 모두가 그 가방을 들고 다니는 현상을 본 적 있을 것입니다. 혹은 어떤 가수가 갑자기 인기를 얻으면 그 가수를 좋아한다고 말하는 친구들이 많아지는

dreamybank101.com

2025.07.19 - [경제] - 블랙 스완 이론 배경 예시 회색코뿔소 백조이론 레드퀸효과

 

블랙 스완 이론 배경 예시 회색코뿔소 백조이론 레드퀸효과

현대 사회는 데이터와 통계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치, 경제, 기술, 사회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예측 가능성'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그러나 우리

dreamybank101.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