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USD Tether(USDT)와 USD Coin(USDC)는 시장에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입니다. 이 두 코인은 가격 변동성이 큰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는 달리 1달러에 가깝게 가치를 유지하려는 특징이 있어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디지털 달러’ 역할을 한다고도 평가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최근 미국에서 제정된 GENIUS Act(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Act)라는 법률이 새로운 규제 틀을 제시하면서, USDT와 USDC의 차이뿐 아니라 앞으로 스테이블코인이 어떤 경로로 나아갈지에 대한 이해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본 글에서는 먼저 GENIUS 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다음 USDT와 USDC의 구조·차이·의미를 비교한 뒤, 마지막으로 이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가 알아야 할 점을 정리하겠습니다.

GENIUS Act란 무엇인가
미국 의회는 2025년 중반에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본격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법률인 GENIUS Act를 제정하였습니다. 이 법은 미국 내에서 ‘결제용 스테이블코인(payment stablecoin)’을 발행하거나 유통시키려면 특정 요건을 갖춰야 한다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는 ‘허가된 결제 스테이블코인 발행자 (Permitted Payment Stablecoin Issuer, PPSI)’로 등록되어야 하며, 연동된 달러 혹은 미 국채 등 고유동성 자산으로 적절히 담보(back)되어야 합니다.  
또한 발행자는 이용자 보호(consumer protection), 자금세탁·테러자금조달방지(AML/BSA) 규제, 외국발행자의 경우 미국 규제와 ‘상당히 유사한(regime comparable)’ 감독체계여야 한다는 요건 등이 있습니다. 법은 또한 발행사가 파산할 경우 해당 스테이블코인 보유자가 채권자보다 우선적으로 권리를 갖게 한다는 조항도 들어 있습니다. 이처럼 GENIUS Act는 스테이블코인이 단순히 암호화폐 세계의 변종이 아니라, 제도권 금융 체계 안에서 신뢰받을 수 있는 형태로 자리잡도록 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다만 Federal Reserve(연준) 관계자들은 아직도 “규제공백(regulatory arbitrage)의 여지가 있다”고 경고하고 있어 완전한 안정이 확보된 것은 아닙니다.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와 USDT의 작동 원리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달러의 역할을 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비트코인처럼 가격이 급등락하지 않고, 실제 미국 달러 가치에 맞춰 1코인당 1달러로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중 테더(USDT)는 가장 오래된 스테이블코인으로, 2014년 처음 등장했습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누군가가 1달러를 테더사에 맡기면, 그만큼의 테더코인이 발행됩니다. 반대로 사용자가 테더코인을 반환하면, 테더사는 1달러를 돌려주고 해당 코인을 소각합니다. 이렇게 발행과 소각이 1대1로 연결되면서, 전체 유통량이 달러 준비금에 따라 조정되고 1달러 가치가 유지되는 구조입니다. 
테더의 준비금(Reserve)은 이 시스템의 핵심입니다. 초기에는 기업어음, 대출채권, 심지어 비유동성 자산까지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후 논란을 겪으면서 점차 구성을 바꾸었습니다. 현재 테더의 준비금 중 약 80% 이상이 미국 단기 국채와 현금성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자산이 ‘1 USDT = 1달러’의 신뢰를 보장하는 장치가 되는 것입니다. 다만 테더는 아직도 미국 내 완전한 금융감사를 받지 않아, “준비금이 실제로 100% 달러로 구성되어 있는가”라는 의문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SDT는 시장 점유율과 유동성 측면에서 압도적입니다.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 대부분이 테더를 기본 거래쌍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신흥국이나 달러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는 실질적인 ‘달러 대체 결제수단’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테더는 트론(Tron), 이더리움(Ethereum), 솔라나(Solana) 등 여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운용되기 때문에, 송금 속도와 수수료 측면에서도 효율적입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테더는 여전히 글로벌 시장의 ‘디지털 현금’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받습니다. 
USDC의 안정성과 규제 기반 원리
USDC(USD Coin)는 2018년에 미국의 핀테크 기업 서클(Circle)과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가 공동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입니다. 겉보기에는 USDT와 동일하게 ‘1 USDC = 1달러’의 구조를 갖고 있지만, 작동 방식과 철학은 훨씬 제도권에 가깝습니다. USDC는 1달러에 해당하는 금액을 발행할 때마다, 동일한 금액의 현금이나 미국 국채를 미국 은행 계좌에 예치합니다. 즉, 100 USDC가 발행되면 실제로 은행 계좌에는 100달러가 존재합니다. 이 자산은 독립된 외부 회계법인(Grant Thornton LLP 등)이 매달 검증하고, 보고서를 대중에게 공개합니다. 이런 방식 덕분에 USDC는 “가장 투명한 스테이블코인”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USDC의 운영 원리는 신뢰성과 규제 준수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발행사는 미국 금융 규제를 따르며, 자금세탁방지(AML)와 고객신원확인(KYC) 절차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미국 정부의 새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인 GENIUS Act 시행 이후에도 서클은 법적 불확실성이 적고, 제도권 금융기관과 협력하기 유리한 위치를 점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장점은 동시에 한계로도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정부의 제재 대상이 된 지갑 주소나 범죄 연루 계정은 동결될 수 있습니다. 즉, 탈중앙화된 자유보다는 법적 안정성과 금융 신뢰에 방점이 찍힌 코인입니다. 
이처럼 USDC는 제도권 결제망, 디파이(DeFi), 기업 간 송금, 그리고 최근에는 글로벌 송금 솔루션 등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특히 블랙록(BlackRock) 같은 대형 금융기관이 USDC의 준비금 관리를 맡으면서, 금융 시장 내 신뢰도를 더욱 높였습니다. 반면 USDT는 여전히 거래 중심의 실용형 코인으로서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결국 USDT는 ‘속도와 유동성’을, USDC는 ‘투명성과 신뢰’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가며
결론적으로 두 코인은 모두 달러의 가치를 디지털화한 스테이블코인이지만, 운영 철학이 다릅니다. USDT는 탈중앙적이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발전해왔고, USDC는 제도권 금융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안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해왔습니다. 앞으로 GENIUS Act 같은 미국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USDC의 제도권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크지만, 암호화폐 시장의 유동성 중심에서는 여전히 테더가 핵심 역할을 유지할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선택을 하든 ‘무조건 안전하다’고 단정짓기보다는 담보자산의 종류, 발행사의 신뢰성, 법률·규제 변화 가능성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이 단지 암호화폐 거래 수단을 넘어서 ‘디지털 달러’ 혹은 미래 결제 인프라로 자리잡을 가능성도 있는 만큼, 변화하는 제도권 틀과 기술발전을 주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글 보기
2025.10.14 - [경제] - 서클(Circle) 분석과 미래: 스테이블코인 혁신의 중심
서클(Circle) 분석과 미래: 스테이블코인 혁신의 중심
서클의 설립 배경과 비전서클은 2013년 미국에서 제레미 알레어와 션 네빌이 공동 설립한 핀테크 기업으로, 처음에는 비트코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와 암호화폐 지갑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으로 출
dreamybank101.com
2025.10.14 - [경제] - 이더리움이란? 비트코인과 다른 진짜 이유
이더리움이란? 비트코인과 다른 진짜 이유
최근 몇 년간 가장 많이 회자된 단어 중 하나가 ‘이더리움(Ethereum)’입니다. 비트코인과 함께 암호화폐 시장을 이끌고 있으며, 단순한 디지털 화폐가 아니라 ‘스마트 계약’이라는 혁신적인
dreamybank101.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5세 이상 세금 폭탄 막는 방법 / 절세 체크리스트 (0) | 2025.10.28 | 
|---|---|
| KRX와 NXT시장 완벽 비교: 거래 시간 및 궁금증 해결 (0) | 2025.10.28 | 
| 스테이블코인이 뭔데? 개념 설명과 수익 전략 (0) | 2025.10.27 | 
| 이재명 정부 탄소중립 정책 / 재생에너지 확대와 산업 구조 전환의 핵심 전략 (0) | 2025.10.27 | 
| 트럼프 셧다운, 공공기관 업무 마비, 이유가 뭘까? (0) | 2025.10.27 |